캠퍼스투어080 조선의 향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80 Hyanggyo of Joseon Dynast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ebook 캠퍼스투어(Campus Tour)

By 명화, 조

cover image of 캠퍼스투어080 조선의 향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80 Hyanggyo of Joseon Dynast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송중기, 박유천, 유아인이 만나면? 성균관 스캔들(2010) :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체역사소설, 사극, 웹툰 등은 현대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2007년 소설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과 이를 원작으로 한 2010년 KBS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이 큰 인기를 누리며 성균관과 유생에 관한 관심 또한 커졌습니다. 송중기, 박유천, 유아인이 여주인공 박민영과 함께 '잘금 4인방'으로 출연하니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하겠습니까? 제작사측에서 성균관의 허가를 받지 못해, 전주 한옥마을 전주향교에서 대부분의 장면을 촬영하였습니다. 성균관 스캔들을 비롯해 영화 YMCA 야구단(2002), MBC 궁(2006), MBC 해를 품은 달(2012), KBS 구르미 그린 달빛(2016) 등 다양한 사극과 현대물이 촬영된 바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캠퍼스투어(Campus Tour)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진리여행을! B고려부터 조선까지! 천년의 세월을 견딘 전주 전주향교(全州鄕校) : 전주 전주향교(全州鄕校)는 현재의 경기전(慶基殿)이 있는 전주시 풍남동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현유(賢儒)를 배향하기 위해 설립된 사당으로, 천년의 역사를 자랑합니다. 이후 태조(太祖)의 어진(御眞)을 모신 경기전 설립과 함께 황화대(黃華臺)로 이전하였으며, 임진왜란 후 다시 현재의 완산구 교동으로 이전하였습니다. 영조 때 전주의 큰 화재가 발생하였을 당시 경기전을 피해, 잠시나마 태조의 어진을 봉안하기도 한 신성한 공간이기도 합니다. 외삼문부터 내삼문, 대성전(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호), 명륜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된 전형적인 전묘후학(前墓後學)의 배치로, 계성사를 포함해 성인들의 위패와 각종 서적, 목판 등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6·25 전쟁으로 인해 심각하게 훼손되었으며, 1950년대와 1980년대 지역 주민과 국가적인 지원을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습니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향교', 경북 경주향교(慶州鄕校, Gyeongju Hyanggyo) : 경주향교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중건되었습니다. 임진왜란과 6·25 전쟁 등으로 훼손되기도 하였으나, 국가적인 지원은 물론 경주 유림들이 힘을 합쳐 대성전, 동재와 서재, 전사청, 명륜당, 존경각 등을 차츰 건립하였고, 이에 '경상북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향교'로 손꼽힙니다. 전학후묘의 배치가 흔한 서원과 달리 경주향교는 평탄한 지형에 성균관과 마찬가지로 전묘후학(前廟後學)의 구조로 지었으며, 명륜당 뒤뜰에 수많은 소나무를 심어 송단(松壇)을 조성한 것이 특징입니다. 최초에는 해동18현을 상징하는 18그루였으나, 철종 시기 수백그루를 추가적으로 심어 현재의 비보림(裨補林)을 형성하였습니다. 1604년 세워진 대성전은 보물 제1727호(2011)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경남 진주향교(晋州鄕校, Jinju Hyanggyo)의 세 가지 비밀 : 진주향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인 배치이기는 하지만, 다른 향교와는 상이한 세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는 우측의 명륜당(明倫堂)과 좌측의 사교당(四敎堂)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마치 강당이 2개인 것 같은 효과를 준다는 것. 실제로 벽이 없이 중앙을 텅 비운 사교당은 현재까지도 진주향교의 각종 체험 행사를 진행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둘째, 외삼문(外三門)과 내삼문(內三門) 앞에 한 쌍의 석사자상(石獅子像)이 자리잡고 있다는 것. 셋째, 깎아지를 듯한 급경사지에 향교를 설치하였다는 것. 이 때문에, 강학영역(講學領域)과 제향영역(祭享領域)이 같은 영역에 있기는 하지만, 수십여 개의 석단(石段)으로 분리되어 있어 기능적으로 완전히 구분된 인상을 줍니다. 무엇보다 외삼문(外三門)을 겸하는 풍화루(風化樓)조차 지면에서 석단(石段)을 통해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엄숙함이 극도로 강조되지요. 제주 정의향교(旌義鄕校)의 세 가지 특징 : 정의향교는 여타의 향교와 세 가지 점이 확연히 다른데 첫째는 남향이 아닌 동향이라는 것, 둘째는 대성전과 명륜당이 전후(동서)가 아니라, 나란히(남북) 배치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제향영역과 강학영역은 담장으로 구분이 되어 있긴 하지만, 전학후묘도 전묘후학도 아닌 제3의 배치라는 점에서 이색적이지요. 셋째는 제주도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전패(殿牌)를 봉안하고 있는 향교'라는 것입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과 한국의 18현의 위패, 전(殿)이 새겨진 전패(殿牌)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죽녹원 옆! 전남 담양향교(潭陽鄕校)(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 최초 설립된 연대가 미상인 담양의 지방교육기관으로, 현재의 모습은 태조 시대 대성전 건설과 함께 만들어졌습니다.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에 따라 대성전, 동무와 서무, 그리고 명륜당 등이 현존합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을 중심으로 송조2현(宋朝二賢)과 동방18현(十八賢)을 봉안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봄과 가을의 석전(釋奠)을 봉안하는 제례기구로만 활용 중입니다. 무엇보다 담양의 대표관광지 담양 죽녹원(竹綠苑)과 맞닿아 있다시피 가까운 거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정문보다 생태전시관과 장인각에서 가깝습니다. ...

캠퍼스투어080 조선의 향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80 Hyanggyo of Joseon Dynast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