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투어051 육군사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51 Korea Military Academ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ebook 캠퍼스투어(Campus Tour)

By 명화, 조

cover image of 캠퍼스투어051 육군사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51 Korea Military Academ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화랑대(花郞臺)란 별칭은 일제강점기 지원병 훈련소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1957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육사의 화랑대(花郞臺) 외에도 육ㆍ해ㆍ공군 3군의 계룡대(鷄龍臺), 육군3군사령부의 선봉대(先鋒臺), 육군군수사령부의 칠성대(七星臺), 육군훈련소의 연무대(鍊武臺), 육군 병과학교 상무대(尙武臺), 육군종합행정학교의 남성대(南城臺), 육군3사관학교(陸軍三士官學校, Korea Army Academy at Yeong-Cheon, KAAY)의 충성대(忠誠臺), 공군사관학교(空軍士官學校, Korea Air Force Academy)의 성무대(星武臺), 육군학생군사학교(陸軍學生軍事學校, Army Cadet Military School)의 문무대(文武臺), 국군간호사관학교(國軍看護士官學校,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KAFNA)의 자운대(紫雲臺) 등 주요 군사시설과 군사학교마다 지명 대신 활용하는 별칭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캠퍼스투어(Campus Tour)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진리여행을! B육사는 학교다! : 육군사관'학교'가 대학교 과정으로 인정받게 된 것은 사관학교설치법이 공포된 1955년으로 이 때부터 졸업생에게 이학사(理學士) 학위가 수여되었습니다. 충북 청주의 공군사관학교, 경남 창원의 해군사관학교와 달리 육사는 '서울의 유일한 사관학교'입니다. 이 덕분에 육사는 전국의 인재를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모집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남초 학교이기는 하나, 1998년부터 여성 생도의 입학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여성만이 입학할 수 있는 여대와 달리, 남대는 아닙니다. 2013년 선발한 여학생은 30명으로 남학생 280명의 1/10 수준입니다. 군사보호구역으로 주말 여행 갈래? : 육사는 지도 앱 위성사진이나 스트리트 뷰도 지원하지 않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1997년부터 일반인을 위한 관광 목적으로 부분 유료 개방을 시작하였으며, 2008년부터 무료로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 지역에 한해 '누구나'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육사 내의 박물관은 육사박물관이 아닌 육군박물관으로, 박물관 여행객이라면 한번쯤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경춘선 화랑대역(現 화랑대 철도공원) & 간성교(干城橋) : 육사 제2정문(正門) 간성문(干城門)은 2010년 12월 폐선된 경춘선 화랑대역(現 화랑대 철도공원)과 가깝습니다. 근대 문화유산 등록 문화제 제300호이자 '서울의 마지막 간이역'으로 숱한 연인들이 육사 앞에서 만나고 헤어지던 추억의 명소이기도 하지요. 잘 아시다시피 서울여대와 육사는 서로 가깝기도 유명한 여대와 남대(?!)인데요, 서울여대 정문(正門)과 육군사관학교 제2정문(正門) 간성문(干城門)의 거리는 화랑로(花郞路)와 경계로 마주보고 있습니다. 둘 사이의 거리는 불과 300여 미터!육사의 체육시설 : 행정안내소(종합안내실) 뒤편의 양지관을 비롯해 육사에는 육사체육관, 관창체육관, 서애관, 종합체력단련장, 육사야구장, 갈매리 테니스장 등 다양한 체육시설이 종목별로 세분화되어 마련되어 있습니다. 모든 생도가 졸업 전에 1단 이상을 취득해야 하는 태권도를 비롯해 농구, 배드민턴, 기계체조, 유도, 합기도, 검도, 권투, 핸드볼, 헬스장, 수영, 탁구, 인조잔디 축구장, 폴리우레탄 육상트랙, 멀리뛰기, 야구, 테니스... 이정도면 태릉인지, 육사인지 구분이 어려울 정도네요!!교훈탑(敎訓塔)·육사기념관 : 교훈탑을 겸한 기념관은 故 김수근 건축가의 작품으로 건축학과 학생들의 건축투어 탐방지로 꼽힐 정도로 의미있는 건물입니다. 육사답게 64미터인 교훈탑은 이름 그대로 건물 외벽에 교훈 지인용(智仁勇)을 새겨 놓았습니다. 취재 당시 육사를(서울여대까지!)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는 '고장 수리중'... 기념관은 육사 어느 곳에서도 눈에 띄는 기념탑 1층에 위치하고 있으니 좌측으로 한 바퀴 돌면서 학교역사실, 교육변천사실, 복식변천사실, 전사자순직실 등 7개의 테마관을 순서대로 관람하시면 됩니다. 저는 기수별 동기회 명칭이 유난히 재미있더라고요. 7기 칠성, 22기 쌍둘, 24기 육사이사... 육사박물관? 육군박물관! :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에게 수학한 김중업 건축가는 박물관 자체가 '조국 통일을 염원하는 거대한 열쇠'를 상징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육사박물관이 아닌, 육군 전체를 대표하는 육군박물관이자 '국내 군사박물관 중 가장 오래된 박물관'으로 방문 가치가 높습니다. 제1전시실(2층)은 선사시대부터 1945년 광복 이전까지, 제2전시실(3층)은 광복부터 현재까지의 유물 만여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박물관 특성상 단순한 유물, 유적보다는 무기류와 방어구에 특화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야외에도 박정희 대통령 의전용 세단(국가등록문화재 제398호)을 비롯해 다양한 무기가 옥외 전시 중입니다. ...

캠퍼스투어051 육군사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51 Korea Military Academy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